전체 글(152)
-
COVID-19 이후, 세계 아이들의 미래는?
(출처)After COVID-19, a future for the world`s children?Author: Helen Clark,Awa Marie Coll-Seck,Anshu Banerjee,Stefan Peterson,Sarah L Dalglish,Shanthi Ameratunga,Dina Balabanova,Zulfiqar A Bhutta,John Borrazzo,Mariam Claeson,Tanya Doherty,Fadi El-Jardali,Asha S George,Angela Gichaga,Lu Gram,David B Hipgrave et al.Publication: The LancetPublisher: ElsevierDate: Available online 2 July 2020 2020년 2..
2020.07.09 -
과학문화 전문인력 양성과정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구성한 카테고리에 항목을 만들었었다. 처음에는 코로나19로 외부활동이 없어지면서 생긴 시간에 글로써 내 생각을 정리해보자는 의도로 만든 블로그였지만, 인간으로서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많은 일과 인간 관계, 그리고 나의 감정을 풀어서 작성하는데 , 그 중에서도 우주와 나 자신을 근원적으로 탐구하는 를 빼놓을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솔직히 너무 심화된 이론은 백프로 이해할 수 없었지만,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면서 찾아보고 검색하는 과정에서 '이런 것도 있구나'하고 깨달은 부분도 많았다. 과학에 관심이 많은 나같은 일반인에게는 인터넷과 구글, 유튜브, 스마트폰은 정말 많은 도움을 주는 고마운 존재들이다. 이를 바탕으로, 칼 세이건, 미치오 카쿠과 같은 일반인에게 어려운 과학 이야기를 쉽게 풀어..
2020.07.08 -
사회적 거리두기의 단계별 지침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00702001033 [헷갈리는 방역지침③] '3단계 거리두기', 단계별 강제력은? [헷갈리는 방역지침③] '3단계 거리두기', 단계별 강제력은? www.newspim.com 최근 광주시의 COVID-19 전파 속도가 빨라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를 실시 중이다. 단계별 사회적 거리두기의 지침은 어떻게 다른지 정리된 기사가 있어 올려봤다. 전국의 일일 감염자 수는 40~60명을 오가고 있지만, 해외 유입을 제외한 지역사회 일일 확진자 수는 50명 미만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1단계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침 상으로는 맞지만, 좀 더 선제적인 거리두기 대응을 하고 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국내에서 분석한 바이러스 중 다수가 'GH' 형이었다. ..
2020.07.07 -
노인 주거 환경의 조건
youtu.be/_aoMnWf5SQU 인생의 마지막까지 '자신이 살던 곳'에서 생활하는 것도 대한민국의 integrated care인 커뮤니티케어의 핵심 목표 중 하나이다. 그래서 고령화를 먼저 겪고 있는 유럽과 일본에서의 integrated care에서도 돌봄 대상자의 거주지 환경 개선 항목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의 지자체 별 계획서를 살펴보면, 거주지 환경은 어떻게 개선시킬 것인가에 대한 부분은 그 비중에 현저히 낮은 편이다. 보건, 의료, 복지 서비스가 '자신이 살던 곳'에서 원활하게 제공되기 위해서는, 돌봄 대상자와 가족을 중심에 두고 설계한 거주지의 요건이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커뮤니티케어의 담당 부처인 보건복지부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2020.07.04 -
아레시보 메시지 (Arecibo message)
영화 (1997)의 주인공 앨리(조디 포스터)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천문학자로 성장해 외계에서 오는 신호를 찾는 과학자가 된다. 영화 속 거대한 전파 망원경이 있는 천문대에서 앨리는 외계로부터 오는 신호를 듣기 위해 늘 헤드폰을 끼고 있는데, 여기는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아레시보 천문대이다. 천문대에 들어가는 예산도 깎이고 비아냥과 멸시를 받으면서도, 외계 신호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던 앨리는 드디어 베가성(태양으로부터 거리가 약 26광년 떨어져 있는 직녀성)으로 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이 메시지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 개막식의 TV중계방송이었는데 당시 퍼져나간 전파가 26년 뒤 직녀성에 도착했고, 다시 되돌아온 것이었다. 또한 메시지를 정밀 분석했더니 수학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었다. 이를 ..
2020.07.03 -
골퍼의 계급
골프에 입문하면서 관련된 재미난 얘기들을 듣게 되는데, 그 중에 정말 빵터진게 '골퍼들의 계급' 글이었다. 궁금해서 출처를 찾아보니 (김홍현 지음) 란 책이었다. 골프를 사랑하는 독자들이라면 공감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 1. 골프지존 클럽챔피언 수준의 골퍼들이다. 그들은 일반 평민들과 라운딩을 해주지 않는다. 그들은 클럽챔피언 모임이라는 그들만의 리그가 있다. 그들은 자기 골프클럽에서 서식(ㅋ)하고 있다. 부킹이 안 될 때 그들한테 부탁하면 100%이다. 2. 절대고수 70대와 80대 초반을 반반 정도씩 친다. 그들은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다. 골프동호회에 절대고수는 항상 몇 명은 있다. 우리도 그들을 알고 있다. 그들은 수도권 일원의 골프장에서 서식하고 있다. 매너도 좋고 핸디도 후하고..
2020.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