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10)
-
갑자기 걷지 못하는 어르신 5
*환자 진료 에피소드를 재구성하였습니다. 본문에 등장하는 인물과 배경은 모두 허구입니다. ... 갑자기 걷지 못하는 어르신 1 beomdoc.tistory.com/m/146 갑자기 걷지 못하는 어르신 1 *환자 진료 에피소드를 재구성하였습니다. 본문에 등장하는 인물과 배경은 모두 허구입니다. --- 가을도 지나가고 아침저녁으로 쌀쌀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 11월의 어느 날이었다. 이제 신경과 beomdoc.tistory.com 갑자기 걷지 못하는 어르신 2 beomdoc.tistory.com/m/147 갑자기 걷지 못하는 어르신 2 *환자 진료 에피소드를 재구성하였습니다. 본문에 등장하는 인물과 배경은 모두 허구입니다. ... 갑자기 걷지 못하는 어르신 1 beomdoc.tistory.com/146 갑자기..
2020.12.15 -
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4
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1 beomdoc.tistory.com/m/140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1대한민국의 원격의료는 의사들의 반대 뿐 아니라, 원격의료는 의료민영화와 다름 아니라는 진보 시민 진영의 반대 논리로 오랫동안 자리잡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코로나19 바이러스의 beomdoc.tistory.com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2 beomdoc.tistory.com/m/141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2beomdoc.tistory.com/m/140 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1 의사들의 반대 뿐 아니라, 원격의료는 의료민영화와 다름 아니라는 진보 시민 진영의 반대 논리로 대한민국의 원격의료는 오랫동안 자리잡지 못beomdoc.tistory.com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3 beomdoc.tis..
2020.10.22 -
인간의 뇌와 의식
"안된다 이 노옴”이라는 호통과 “군관 나으리, 군관 선생님, 군관 동무”라는 아부를 번갈아 하며 몸부림치는 서슬에 마침내 링거줄이 주사바늘에서 빠져 버렸다. 혈관에 꽂힌 채인 주사바늘을 통해 피가 역류해 환자복과 시트를 점점 물들였다. 피를 보자 어머니의 광란은 극에 달했다. “이 노옴, 게 섯거라. 이 노옴, 나도 죽이고 가거라 이 노옴.” 어머니는 눈물이 범벅된 얼굴로 이를 갈았다. 틀니를 빼놓아 잇몸만으로 이를 가는 시늉을 하는 게 얼마나 처참한 것인지 나말고 누가 또 본 사람이 있을까. 이게 꿈이었으면, 꿈이었으면. 어머니는 이 세상 소리가 아닌 기성을 지르며 머리카락을 부득부득 쥐어 뜯다가 오줌을 받아 내는 호스도 다 뜯어버렸다. 피비린내가 내 정신을 혼미케 했다. 퍼뜩 정신이 나서 구원을 청..
2020.09.27 -
네오와 자유의지
우여곡절 끝에 다다른 ‘소스’의 문 앞에서, ‘네오’는 죽어가는 ‘키메이커’에게 소스의 문을 열 수 있는 열쇠를 받아 문을 열게 된다. 드디어 문이 열리고, 눈부시도록 환하게 빛나는 소스로 들어가면서 네오는 생각한다. “여기에 오기까지 얼마나 힘들었던가. ‘오라클’이 이유도 안 알려주고, 소스에 가야한다고 해서 겨우 여기까지 왔는데, 여기는 도대체 무엇 때문에 온 것일까?“ 소스 안에 들어가니 그 곳은 네오를 비추는 수많은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는 방이었고, 방안 가운데 의자에 앉아있는 흰 정장을 입은 백발의 노인이 마치 네오를 기다렸다는 듯 맞아준다. ‘아키텍트’라고 자신을 소개한 노인은 ‘매트릭스’의 진실과 인류가 처한 상황, 네오가 결정해야할 선택지를 알려준다... -영화 의 한 장면 화려한 액션 장..
2020.09.17 -
내가 누구인지 알려주는 뇌과학
인간의 삶과 죽음을 목격하는 신경과의사인 나에게, 나 자신과 우주의 근원은 아직 풀리지 않은 미스터리다. 우리의 몸은 밤하늘의 빛나는 별들로부터 만들어진 원자들로 이루어졌고, 우리의 어깨 위에 있는 두뇌는 우리가 알고 있는 우주에서 가장 복잡한 물체이며, 우리는 이 두뇌를 이용하여 우주의 법칙과 자신의 존재 기원을 탐구하고 있으니, 기적과 같은 일이 아닐 수 없다. ‘나는 누구인가?’, ‘나의 의식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우리의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등 아직 풀지 못한 근원적인 질문들의 답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만물을 이해하는 방법인 과학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실제로 생리학, 생화학, 분자생물학이 세포와 분자 단위에서, 전자기학과 양자역학이 원자와 아원자 단위에서 이전에는 이해하지 못했..
2020.09.07 -
자유의지는 존재하는가
youtu.be/Q5RE-2e50UA 재밌게 구독하는 유튜브에서, 지난 주에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하여 정리했다. 인간의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오늘 점심 식사로 짜장면을 먹을지 짬뽕을 먹을지 사소한 것 부터, 다가오는 선거에서 어느 후보에게 투표할 것인지, 자신에게 '자유의지'가 있다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왔다. 하지만, 물질에서 생물로, 생물이 다양하게 분화하고 호모사피엔스가 나타나면서 보다 진화된 의식을 가지게 되었다는 관점에서는, 우리가 매일 결정하는 수많은 선택들 조차도 '자유의지'가 아닌 신경망의 피드백에 의한 결과이며, 우리가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은 뇌가 만들어낸 환상에 불과할 수도 있다. 본 블로그에서 이전에 소개한 미치오 카쿠의 부록 편에도 '자유의지'를 다루고 ..
20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