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의료(10)
-
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1
대한민국의 원격의료는 의사들의 반대 뿐 아니라, 원격의료는 의료민영화와 다름 아니라는 진보 시민 진영의 반대 논리로 오랫동안 자리잡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행으로 한시적으로나마 '비대면 진료'가 허용되었고, 환자 수가 급감한 의료기관 중 일부는 비대면 진료를 활용하고 있다. 의사가 멀리 떨어져있는 환자의 정보를 전화로 얻어서 진료하는 행위 자체는 대면 진료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한시적으로 허용된 비대면 진료로 부실한 의료행위가 늘어나진 않을지, 가뜩이나 망가진 의료전달체계가 더 무너지는 계기가 되진 않을지 의사들은 걱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비대면 진료에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게 되면, 이전에는 불가능하거나 한정적이었던 의료기관의 외부..
2020.10.20 -
죽음의 계곡, 캐즘, 그리고 다윈의 바다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13289 [과학칼럼]죽음의 계곡과 다윈의 바다 - 경남도민일보 작년 한 해 우리나라 과학기술자들이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세계최초 혹은 세계 최고기술을 개발한 건수가 10건이 넘는다. 최근 한국의 과학기술력이 세계적 수준으로 올라가면서 �� www.idomin.com 참신한 아이디어, 또는 실험실에서 확인된 새로운 기술들이 우리가 실생활에 쓸 수 있는 상품으로 만들어지고 양산화될려면 거쳐야 하는 과정이 있다. 먼저 새로운 기술을 제조공장에서 생산하기 위해 기술적 문제, 주변 기술과 인프라의 낙후성, 신제품 제조장비 설치에 소요되는 많은 투자비, 소비자 구매의 불확실성, 경쟁업체의 저가 마케팅 등의 수많은..
2020.08.24 -
웨어러블 기기는 환자의 자기 관리에 도움이 될까?
(출처) using wearables and self-management apps in patients with COPD: a qualitative studyRobert C. Wu ERJ Open Res. 2019 Jul; 5(3): 00036-2019 지난주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의 파트너로서, 자가 혈압 측정과 혈당 측정 기기를 만드는 업체 대표님과 식사를 했었다. 자연스럽게 최근 거론되고 있는 원격의료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대표님을 비롯한 참석자들, 그리고 나도 착용하고 있던 스마트워치를 말하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심이 많은 우리같은 얼리어답터 외에는 일반인들은 지금 가장 대중화된 스마트워치를 잘 착용하지 않는다는 얘기를 했다. 실제로 우리가 있던 식당 손님들, 직원들 손목을 봤지만, 스마트..
2020.06.09 -
웨어러블 심전도 장치의 건보 진입에 대한 우려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0997웨어러블 심전도 측정 건보 진입에 ‘우려’ 쏟아내는 醫 - 청년의사정부가 스마트워치 심전도 측정을 신의료기술 평가도 거치지 않고 의료행위로 인정하자 의료계가 강하게 반발하며 즉각적인 철회를 촉구했다.대한임상순환...www.docdocdoc.co.kr원격의료를 굳이 비대면 진료라고 칭하며, 원격의료의 정착을 추진하겠다는 청와대와 정부의 발표 이후, 무엇이 그렇게 급했는지, 신의료기술 평가도 없이 모 업체의 웨어러블 심전도 측정 워치가 건강 보험 급여에 편입되었다. 이전 포스팅한 내용에서도 여러 차례 밝힌 것 처럼, 원격 의료가 점점 더 실현 가능해지고, 어쩔 수 없이 원격의료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
2020.05.26 -
원격의료 업데이트 20200523
http://now.rememberapp.co.kr/2020/05/18/8150/원격의료와 타다의 공통점정부가 코로나19를 계기로 원격 의료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만 도입하기 전에 해결할 문제가 여럿 있습니다. 본질적으론 새로 추가되는 비용을 누가 부담할지의 문제입니다.now.rememberapp.co.kr이진우 경제평론가가 원격의료에 대해 쓴 칼럼이다. 왜 이렇게 원격의료라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된 것인지, 경제평론가 답게 새로운 서비스로 추가되는 비용 관점에서 잘 정리한 글이라 링크를 가져왔다. 현재의 원격의료와 관련된 논쟁과 정부 정책의 드라이브를 보면, 의 핵심 문제는 점점 더 뒤로 빠지고 있는 것 같은 모양새이다. 그보다는 오히려, 원격의료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수많은 IT기기 개..
2020.05.23 -
이번주 원격의료 관련 뉴스
원격의료 활성화? 이 정권에서도 들어야 하다니 출처 : 오마이뉴스 | 네이버 http://naver.me/Fh6EMjeM원격의료 활성화? 이 정권에서도 들어야 하다니[오마이뉴스 이주혁 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은 임기 내내 창조경제의 예로써 '원격의료'를 강조했었다. 보건의료계에서 원격의료를 활성화는 삼성 등 대기업을 위한 정책 아니냐는 비난 여론이 지속적으로 제기됐지만 자꾸 그news.naver.com코로나19 틈타, '원격의료' 푼다?...대기업 숙원 풀고 '의료 영리화' 가나 홍남기 "원격진료 규제 혁파에 역점" 출처 : 프레시안 | 네이버 http://naver.me/x4cz2WCE코로나19 틈타, '원격의료' 푼다?...대기업 숙원 풀고 '의료 영리화' 가나홍남기 "원격진료 규제 혁파에 역점" [..
2020.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