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2)
-
주치의 제도의 양면성
대한민국의 건강보험과 의료제도를 외국에서 연구할 때 많이 놀라는 것들로는, 다른 국가에서는 생각할 수도 없는 뛰어난 의료 접근성과 저렴한 비용 등이 있다. 이런 요소들 외에도, 대한민국의 환자들은 왜 진료를 위한 의료기관을 전문가의 도움 없이 자기 마음대로 선택하는지 궁금해한다. 전체 국민이 공보험인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는데, 환자를 위한 의료기관의 선택이 어떤 기준이 아니라 개인의 선택이라는 부분, 즉 '주치의의 부재'라는 특징은 외국의 보건의료 연구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한다. ... 한 인간의 생애주기 상 어쩔 수 없이 직면해야 하는 의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사건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정된 의사로 부터 일관성 있는 진료를 받아야하고, 좀 더 고도화된 검사와 치료, 장기적인 돌봄 서비스가 필요..
2020.06.27 -
웨어러블 심전도 장치의 건보 진입에 대한 우려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0997웨어러블 심전도 측정 건보 진입에 ‘우려’ 쏟아내는 醫 - 청년의사정부가 스마트워치 심전도 측정을 신의료기술 평가도 거치지 않고 의료행위로 인정하자 의료계가 강하게 반발하며 즉각적인 철회를 촉구했다.대한임상순환...www.docdocdoc.co.kr원격의료를 굳이 비대면 진료라고 칭하며, 원격의료의 정착을 추진하겠다는 청와대와 정부의 발표 이후, 무엇이 그렇게 급했는지, 신의료기술 평가도 없이 모 업체의 웨어러블 심전도 측정 워치가 건강 보험 급여에 편입되었다. 이전 포스팅한 내용에서도 여러 차례 밝힌 것 처럼, 원격 의료가 점점 더 실현 가능해지고, 어쩔 수 없이 원격의료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
2020.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