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3)
-
갑자기 걷지 못하는 어르신 2
*환자 진료 에피소드를 재구성하였습니다. 본문에 등장하는 인물과 배경은 모두 허구입니다. ... 갑자기 걷지 못하는 어르신 1 beomdoc.tistory.com/146 갑자기 걷지 못하는 어르신 *환자 진료 에피소드를 재구성하였습니다. 본문에 등장하는 인물과 배경은 모두 허구입니다. --- 이제 가을도 지나가고 아침저녁으로 쌀쌀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 11월의 어느 날이었다. 이제 신 beomdoc.tistory.com 초기 뇌경색 환자들은 뇌혈관이 다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를 덜 굳게 만들어주는 약, 항혈소판 약물 또는 항응고 약물을 처방한다. 그리고 뇌 혈류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생리식염수 수액을 투여하고, 어느 정도의 고혈압은 특별히 치료하지 않고 두고 본다. 이번에 입원한 어르신은 약..
2020.11.16 -
갑자기 걷지 못하는 어르신 1
*환자 진료 에피소드를 재구성하였습니다. 본문에 등장하는 인물과 배경은 모두 허구입니다. --- 가을도 지나가고 아침저녁으로 쌀쌀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 11월의 어느 날이었다. 이제 신경과 외래 진료도 마무리 되고 자리를 정리하는데 전화가 울렸다. 대학 후배인 내과 의사 이정국 선생이었다. 이선생은 후배지만 힘든 전공의 수련 시간을 응급실과 중환자실, 당직실에서 같이 보낸,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하게 지내는 형제 같은 사이다. 나는 내과 협진이 필요한 환자가 있을 때 마다 이선생에게 부탁했고, 반대로 이선생도 환자에게 신경과적 증상이 생기면 나에게 편하게 연락하였다. “오 정국아 무슨 일 있어?”“형, 내가 작년부터 당뇨로 치료하던 어르신이 있는데, 오늘 외래에서 보니까 평소하고는 좀 달라서 연락했어. ..
2020.11.16 -
MRI의 발명과 뇌 과학 (feat. 마음의 미래)
오늘 다룰 주제의 출처는 미치오 카쿠의 란 책이다. 미치오 카쿠는 직접 자신이 "정신세계에 관심이 많은 이론물리학자"라고 얘기한다. 가장 친숙하면서도 낯선 우주, 즉 인간의 정신세계를 물리학자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새로운 방향으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 망원경이 처음 발명된 후 우주시대가 도래하기 까지는 거의 350년이라는 세월이 걸렸지만, MRI가 발명된 후 두뇌와 바깥세계를 연결하는 데에는 겨우 15년 밖에 걸리지 않았다. 발전이 빠른 이유 중 하나는 전자기학(electromagnetism)에 관한 이해가 과거 어느 때 보다 깊어졌기 때문이다. 뉴런을 통해 전달되는 전기 신호를 분석하려면 전자기학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전자기학의 모든 내용은 James Cler..
2020.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