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원주의(2)
-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란 무엇인가?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1244 ‘CRISPR-Cas9’ 유전자 가위, 그 무궁무진한 가능성 CRISPR를 얘기하기 전에 먼저 바이러스란 골칫덩이를 알아야 한다. 바이러스는 무생물과 생물의 중간이라고 정의되는데 숙주(Host cell)를 통해서만 www.biospectator.com 내가 레지던트 수련을 받기 시작할 무렵에, 나의 교육 수석 전공의 선생님은 늘, "그래서 네 생각을 분자 단위로 설명할 수 있어? 아니면 세포 단위에서라도 설명할 수 있어?" 라고 환원주의적인 질문 공세를 하셔서, 참 난감했던 기억이 난다. 그때는 관련 내용을 찾아보려고 하면, 두꺼운 원서에서 색인을 뒤져서 여기 저기 펼쳐봐야 해야 했고 논문도 찾으려면..
2020.04.10 -
카오스 브레인 오디세이 1편 리뷰
"우리는 새들의 노래가 어디에 유용한지 캐묻지 않는다. 새들은 노래하기 위해 태어났으며, 노래가 곧 삶의 즐거움이다. 이 점에서는 인간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인간이 하늘의 비밀을 캐기 위해 노력하는 이유를 굳이 따지고들 필요는 없다."-Johannes Kepler, 17세기 천문학자 "인간의 가장 큰 관심사는 자연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우주와 자신의 관계를 알아내는 것"-Thomas Huxley, 19세기 생물학자 "완벽한 이론이 발견된다면 그것은 일부 과학자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골고루 이해되어야 한다. 그래야 '우주와 우리는 왜 존재하게 되었는가?'라는 심오한 토론에 철학자와 과학자, 그리고 모든 대중이 골고루 참여할 수 있다. 이 토론에서 누구나 만족할 만한 결론이 내려진다면, 그것은 ..
2020.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