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완(2)
-
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5
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1 beomdoc.tistory.com/m/140 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1 대한민국의 원격의료는 의사들의 반대 뿐 아니라, 원격의료는 의료민영화와 다름 아니라는 진보 시민 진영의 반대 논리로 오랫동안 자리잡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코로나19 바이러스의 beomdoc.tistory.com 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2 beomdoc.tistory.com/m/141 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2 beomdoc.tistory.com/m/140 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1 의사들의 반대 뿐 아니라, 원격의료는 의료민영화와 다름 아니라는 진보 시민 진영의 반대 논리로 대한민국의 원격의료는 오랫동안 자리잡지 못 beomdoc.tistory.com 미래에도 의사로 살아남기 3 beom..
2020.10.25 -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이전 포스트에서 '과학은 예술·영화·문학 등 인간의 문화에게 영향을 주고, 다시 그 반대로 영향을 받는 상호 작용을 한다'는 내용을 올렸었다. 마찬가지로, 인간의 탄생과 질병, 회복과 죽음을 다루는 을 소재로 소설과 드라마, 영화들이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2020년 TVN에서 방영한 의학 드라마, (이하 슬의생)도 최종회 시청률 전국 14.1%를 기록할 정도로 대중의 인기를 끌었다. 의사들에게도 은 역대 의학 드라마들 중 가장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병원에서 일하는 평범한(?) 의사들의 모습에 공감이 되고, 수술실, 중환자실을 실감나게 잘 살린 것이 주효했던 것 같다. 과거 의학 드라마에서는 어려운 수술에 대한 고뇌, 의사들 사이의 알력 다툼 처럼 너무 진중한 내용이 많았다면, 에..
2020.08.11